취업 인터뷰&후기

Success Stories

교육이 취업의 마지막 단계가 아닙니다. 늘 배움과 자기계발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 과정명 : [플립드러닝] 시각디자인(옥외광고) 양성과정 A
  • 취업분야 : 디자인
  • 작성자 : 이도*
  • 작성일 : 2021-07-16
  • 조회수 : 3599
  • 지점 : 그린 - 대구(동성로)
  • “교육이 취업의 마지막 단계가 아닙니다. 늘 배움과 자기계발이 계속되어야 할 것입니다”

    전문화된 훈련을 제공하고 있는 그린컴퓨터아트학원 대구점! 그린에서는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에게 직업능력 향상과 취업연계 기회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데요~오늘은 [플립드러닝] 시각디자인(옥외광고) 양성과정 A을 수료한 이도성수료생의 후기를 통해 그린컴퓨터아트학원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업무중인 이도성 수료생
  • 1. 수강 동기는 무엇인가요?

     경영학 전공을 했던 저에게 절실하게 실무적인 능력이 필요했습니다. 그러던 차 디자인에 대해 알게 되었고, 더 나은 성장을 위해 디자인을 수강하게 됐습니다.
    ▲ 업무중인 이도성 수료생
  • 2. 그린을 선택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꼼꼼한 지도와 엄격한 출석관리, 우수한 선생님들이 계셔서 지원했습니다.  더 나아가 학원을 수료한 뒤로 취업관리에 있어서 너무 세세하게 잡아주셔서 좋았습니다.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정확한 피드백, 면접 자세, 추천회사 등 너무나도 자세히 가르쳐주셨습니다.
    ▲ 이도성 수료생 포트폴리오 중
  • 3. 수강하면서 힘든 부분과 재미있었던 부분은 무엇인가요?

     똑같은 일상이 힘들었던 것 같아요. 아침, 점심, 저녁의 무한 반복, 하지만 선생님께서 잘 지도해주시고, 지루하지 않게 수업을 진행해주셔서 정말 좋았던 것 같습니다. 코로나 때문에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되어 많이 아쉬웠지만, 작품을 공유하는 부분에서는 부담감을 덜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 4. 수료 후 가장 크게 변화했거나 본인이 성장했다고 느끼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삶은 배움의 연속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더 느끼게 됩니다. 그린컴퓨터아트학원에서 배움을 끝맺음하는 것이 아니라 한 번 더 배움을 향해 확신을 갖기 위한 걸음이었다고 생각합니다.
    ▲ 이도성 수료생 포트폴리오 중
  • 5. 현재 직무는 무엇이며, 수업 내용이 직무의 어떤 부분에 도움이 되었나요?

     현재 직무는 디자인 상품기획입니다. 취업을 해보니 실무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기술을 학원에서 모두 배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 6. 취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린컴퓨터학원(취업지원실)에서 가장 도움이 된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인지요?

     취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끊임없는 노력이 아닐까 합니다. 취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도 항상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채워 나가야합니다. 취업지원실에서는 복장 및 면접 예상 질문 세세한 부분까지 알려주셔서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 이도성 수료생 포트폴리오 중
  • 7. 앞으로 취업을 준비하는 훈련생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간혹 내가 가는 길이 맞는 건가? 이 직무를 배워서 과연 쓸 수 있을까? 내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이 많이 들며, 흔들리는 순간이 종종 오고, 자존감이 낮아지며 많이 힘들 수 있습니다. 그럴 땐 따로 위로, 조언도 통하지 않죠. 직업이 맞지 않는 건 당장 판단하는 게 아니라 능력을 갖추고 똑같은 기준에서 판단하는 거니까요. 
    도전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항상 삶은 배움의 연속입니다. 저도 현재 직장을 다니면서 또다시 학원을 다니며 더 나은 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린컴퓨터아트학원에서 훈련생분들의 배움이 끝맺음이 아니시길 바랍니다.
    ▲ (주)딘에어코리아_공기청정기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최근에는 새로운 제품출시로 바쁜 일상의 연속이지만 성장가능성 높아 자신있게 자랑하고싶은 회사입니다.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