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채널

Green Media

문화역서울 284, 가상 세계 잇는 정거장으로 변모하다
작성일: 2021.11.29
조회수: 6344

 

우리의 역사 속에서 물리적인 장소를 이어주던 정거장이었던 문화역서울 284가 여러 가상의 세계들을 잇는 정거장으로 변신한다. 전시 ‘가상정거장’을 통해서다. 

 

‘가상정거장’은 2021 문화역서울 284의 협력전시로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 이하 공진원)과 옵/신이 공동으로 주관한다. 

 

 

고이즈미 메이로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 ⓒ Aichi Triennale 2019 Photo_Shun

 

김나희 〈미토릭스〉 ⓒ Courtesy of the Artist

 

 

전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초대 예술감독,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감독을 역임한 김성희 예술감독이 총괄한다. 

 

다원예술을 한국에 자리 잡도록 만든 주역인 김성희 예술감독은 이번 전시에서 옵/신과 함께 하는 다원예술이 장르가 아니라 현대예술의 특성임을 말하고자 한다.

 

가상현실과 게임, 비트코인 등 이미 일상으로 다가온 확장 가상세계(Metaverse) 환경을 예술적 관점으로 관찰하는 전시를 통해 문화역서울 284는 멀티버스(Multiverse) 시대에 필요한 실제와 가상의 문화교류를 실현하는 장소가 된다. 

 

〈에란겔 : (불)가능한 공동체〉 ⓒ Virtual Station

 

정금형, 〈레코드 스톱 플레이〉 ⓒ Courtesy of the Artist

 

 

전시 참여 작가들은 테크놀로지로 촉발된 환경변화에 응답하는 예술가들의 관점과 형식이 총 13편의 작품을 통해 소개한다. 

 

고이즈미 메이로의 〈사슬에 묶인 프로메테우스〉는 VR 기술을 활용해 우리의 몸과 감각이 가상현실로 확장될 때의 공상과학 같은 근미래를 상상한다. 

 

대만의 예술영화 감독으로 유명한 차이밍량의 〈폐허〉는 VR 작품으로는 이례적으로 긴 러닝타임 동안 관람객을 영화적 시간으로 초대한다. 

 

싱가포르 대표 현대미술 작가인 호추니엔은 소리와 결합된 VR 작품을 선보이며, 김희천·서현석 작가는 오늘날 현존의 의미를 VR 혹은 AR에 투사, 그것이 어떻게 변형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차이밍량 〈폐허〉 ⓒ HTC VIVE ORIGINALS, Photo_Chang Jhong-Yuan

 

호추니엔 〈R for Resonance〉 ⓒ Courtesy of the Artist

 

 

김보용·김지선·정금형·정여름 작가는 뉴미디어로 변형된 재현의 체제와 사유의 방식을 살펴보고, 김나희 작가는 〈미토릭스〉를 통해 사이보그와의 새로운 관계를 통해 인간의 또 다른 관계맺기 방식을 상상한다. 

이와 함께 온라인 게임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에란겔: (불)가능한 공동체’와 ‘21 Days’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전시 연계프로그램도 마련된다. 김나희 작가, 에란겔투어 참여 작가팀을 비롯해 서동진 교수(계원예대 융합예술학과), 이정엽 교수(순천향대 한국문화콘텐츠학과)와 함께하는 가상세계와 블록체인, 게임 등 다양한 주제의 토크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며, 전시작품 ‘21 Days’의 프로젝트 렉처 퍼포먼스가 열린다. 

 

공진원 김태훈 원장은 “신기술을 활용한 협력전시 ‘가상정거장’을 통해, 빠르게 변화하는 일상을 다채로운 관점으로 바라본 예술의 새로운 방식을 공유하고자 한다”며 “향후에도 역량 있고 우수한 예술가들과 함께 일상 속 문화 재창조 공간으로서 문화역서울 284의 협력전시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 ‘가상정거장’의 일부 체험형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은 사전 예약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전시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문화역서울 284 홈페이지 및 ‘가상정거장’ 홈페이지(virtualstation2021.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에디터_ 최유진([email protected]

사진제공_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출처_ 디자인정글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