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채널

Green Media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추구하는 닷(dot)
작성일: 2021.04.27
조회수: 8272




안녕하세요! 그린컴입니다~

여러분들, 혹시 오늘이 무슨 날인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장애인에 대한 이해와 장애인의 재활 의욕을 고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장애인의 날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배리어프리(무장애) 디자인을 제품, 공공장소, 시설 등에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는

벤처기업, 닷(dot) 그리고 그들의 디자인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배리어프리 디자인



출처 : Webzine 프리즘

배리어프리(Barrier-Free)는 장애인, 노인 등과 같이 신체적 불편함을 가진 이들이

편하게 살아갈 수 있는 도시를 만들기 위해 물리적, 제도적 장벽을 제거하자는 의미인데요.

장애의 유무 그리고, 성별, 연령, 문화적 배경에 관계없이 누구나 편리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유니버설 디자인과는 구별되는 개념이죠.

장애인을 주 대상으로 하는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여러 환경에 적용함으로써

장애 친환경적인 환경을 만들고자 노력하는 기업이 있는데요. 바로 닷(dot)입니다.

닷(dot)

닷은 2015년 법인 설립된 벤처기업인데요.

설립 초기부터 닷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 기술을 연구해왔으며

계속해서 교육 환경, 대중교통, 공공시설 등에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확대 적용해오고 있습니다.

그럼 닷의 대표적인 제품, 디자인을 알아보도록 할까요?

닷 워치



닷 워치 / dot

가장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닷 워치를 꼽을 수 있겠습니다.

닷 워치는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워치인데요.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결하여 시계, 날씨, 스톱워치, 알람, 메시지 수신, 네비게이션 등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점자에 익숙한 이들을 위한 점자모드, 점자를 몰라도 사용할 수 있는 촉각모드 이렇게 두 가지 모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닷 워치 구현방식 / dot

모든 알림, 메시지는 점자로 번역되어 전달되며 진동 기능까지 갖춰있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시각장애인, 소리를 들을 수 없는 청각장애인,

그리고 시각과 청각 장애를 모두 가진 시청각장애인 모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 dot

현재 수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키오스크는 너무 높아 도달이 어렵거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사용이 어려운 이유 등으로 장애인들의 발걸음을 돌리게 만드는 경우가 대다수인데요.

닷은 이에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적용한 키오스크를 선보였습니다.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기능 / dot

시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 촉각 지도 및 음성 안내,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영상 및 자막 지원,

지체장애인의 눈높이에 따라 자동 높이 조절 가능 및 하단에 위치한 터치패드 등

그 누구도 불편함을 겪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키오스크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배리어프리 버스 정류장



배리어프리 버스 정류장 / dot

우리가 무심하게 하루에도 몇번씩 지나쳐가는 버스 정류장 또한 장애인들이 이용하기에는 불편한 점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이를 인지한 닷은 실시간으로 점자, 음성안내, 수어를 통해 버스 도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배리어프리 버스 정류장을 디자인하였습니다.

배리어프리 버스 정류장은 현재 키오스크와 함께 부산역에서 시범 운영 중이라고 하는데요.

해당 정류장은 교통약자들의 수요 응답형 버스 및 택시 동승이 가능한 승차공유 플랫폼으로 활용되며

평균 대기시간 1시간, 이동시간 38%, 비용은 45%를 감소하는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닷은 배리어프리 관광지, 박물관, 스마트시티 등

신체가 불편한 모든 이들을 위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날, 오늘만큼은 그들에게 이 사회가 얼마나 불편하게 디자인되었는지

그리고 그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리어프리 디자인을 적용을 통해

여러 기업, 단체, 개인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관심을 가져보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내용 및 사진출처 : dot 홈페이지 http://www.dotincorp.com ]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