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채널

Green Media

스마트폰, 밤새 충전하면 안 좋나요?
작성일: 2021.04.19
조회수: 11159





안녕하세요! 그린컴입니다

여러분도 밤에 잘 때 폰 충전하시죠?

잠들기 전에 충전기에 연결해놓고 아침에 일어나서 빼는 게 일반적인데

사실 이런 습관이 배터리 성능을 저하시킨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그 스마트폰에 쓰이는 배터리가 어떤 종류인지, 왜 밤새 충전하면 수명이 주는지,

또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폰, 무슨 배터리 쓰길래?

대부분의 스마트폰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 리튬이온 배터리는 노화되면서 자연히 충전량이 줄어듭니다.

배터리 수명은 충전 주기의 총 횟수라고 볼 수 있는데요.

배터리가 0%에서 100%까지 충전된 다음 다시 0%로 방전되는 것을 한 번의 충전 주기로 할 때,

리튬 이온 배터리의 수명은 300회에서 500회 정도라고 하네요.

그 이상 사용하면 용량이 75%정도로 떨어진다고 합니다.

다들 스마트폰 1년 정도 써본적 있으실거예요.

그때쯤 되면 배터리가 처음보다 훨씬 빨리 닳아서 보조 배터리를 들고 다니게 되죠.

그 이유가 바로 리튬 이온 배터리이기 때문이랍니다.



왜 밤새 충전하면 수명이 줄까?

리튬 이온 배터리의 작동 방식 때문입니다.

작동 방식상 스마트폰은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배터리 수명이 줄어듭니다.

그런데 배터리를 80% 이상 충전시키거나, 20% 이하가 될 때까지 사용하면 리튬 이온이 과다 주입되어 배터리가 더 빨리 손상됩니다.

때문에 풀충전은 배터리에 독이됩니다. 20% 이상 80% 미만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스마트폰을 밤새 충전하면 안 되는 이유도 권장 충전량인 80%를 넘기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 밖에 온도가 상승하는 것도 배터리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물론, 불이 날 확률은 매우 낮지만요!

(배터리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스마트폰 제조사에서 안정 장치를 만들어 놓는다고 하네요.)



그럼 어떻게 관리해야 되지?

밤 사이에 충전하면 안 된다니. 참 까다롭죠.

배터리가 50%씩만 충전될 수 있도록 아침에 잠깐 충전하는게 제일 좋다고 하는데,

이게 힘들다면 배터리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해보세요.

일정량 충전되면 자동으로 충전 전력을 끊어주거나, 알람이 울려서 80% 이상 충전되는걸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 밖에도 배터리 관리 비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폰을 너무 덥거나 추운 환경에 두지 않기

0도 미만, 70도 이상의 기온은 리튬 이온 배터리를 더 빨리 손상시킵니다. 당연히 직사광선도 피하는게 좋다고 하네요.

-충전 중에 폰 사용하지 않기

특히 충전하면서 고사양 게임을 하는건 배터리에 가장 안 좋습니다.

-기본 탑재된 배터리 관리 기능 활용하기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폰에서 관련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는 사실, 모르셨죠?

ios는 설정 > 배터리 > 배터리 성능 상태 > 최적화된 배터리 충전

안드로이드는 배터리 및 디바이스 케어 > 배터리에서 각각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스마트폰 배터리에 대한 유익한 정보 몇 가지를 알아봤습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특히 배터리 일체형 핸드폰은 배터리에 문제가 생기면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어려워지니까 꼭 실천하시고 핸드폰 오래오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다음엔 더 유익한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목 록

빠른상담

이름

지점선택

연락처

- -

이메일

@

상담내용

2023 강남(본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신도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노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인천(부평)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4 인천(청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수원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의정부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청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둔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대전(중앙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울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3 부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역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종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신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부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산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안양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성남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전주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동성로)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2022 대구(교보타워)

5년 인증 우수
훈련기관 선정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대한민국 교육브랜드 대상
IT· 디자인 교육 부문 1위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교육사회공헌 부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상

대한민국 교육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사랑나눔 사회공헌 대상
전문인력육성 부문 고용노동부장관상

고객신뢰도 1위 프리미엄 브랜드
디자인·IT 취업교육 부문 대상

국가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최우수 브랜드

한국의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대상

소비자추천 1위 브랜드 대상
디자인·IT 교육 부문 1위

대한민국브랜드평가 1위
디자인·IT 교육 브랜드 1위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강남(본점)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4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역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건축설계·감리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촌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신도림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회계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성남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출판

훈련 이수자 평가

2023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디자인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종로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노원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인천(부평)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천

훈련 이수자 평가
문화콘텐츠제작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안산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전

훈련 이수자 평가
일반사무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대구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

훈련 이수자 평가

2022 부산

훈련 이수자 평가
정보기술개발